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

주택수당 지급대상 및 지급액 주택수당은 하사 ~ 중령까지의 군인과 제외공무원에게 지급됩니다. 지급액은 2023년에 군인의 경우 100% 인상되어 160,000원이 지급되고, 재외공무원은 공관 소재지의 주택임차료 시세를 고려하여 외교부장관이 정하는 금액을 지급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에서 정리하겠습니다. 주택수당 이란? 주택수당은 정부가 소유하거나 임차한 주택에서 임차료 등을 지급하지 않고 거주하는 사람에게 지급하는 수당입니다. 즉, 관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수당은 아닙니다. 주택수당 지급 대상 주택수당의 지급 대상은 군인과 재외공무원에게만 지급 대상이 됩니다. 군인의 경우 현역 간부는 기본적으로 모두 포함되지만 장기 복무자에게만 지급 대상입니다. 따라서 지급대상에는 포함되어.. 공무원-군무원-군인 2023. 1. 15.
국내 가족여비 지급 요건 및 급액 국내 가족여비란 부임여비, 국내이전비와 같이 부임의 명을 받아 근무지 외의 신임지로 가족을 동반하거나, 본인 이사 후에 가족을 불러올 때 이동하는데 필요한 여비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 가족여비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족여비에 알아보기 전에 가족여비는 부임여비, 국내 이전비와 같이 지급 가능하므로 관련 사항을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아래 링크에 설명해 놓았습니다. 부임 여비 지급 기준 공무원으로서 신규 임용 또는 발령, 파견 등으로 부임의 명을 받아 이동하였을 때 지급하는 부임여비 지급 기준입니다. miligence.tistory.com 국내이전비 지급 대상 및 기준 국내이전비의 지급 대상 및 지급 기준, 지급 금액, 이주 및 신청기한, 제출 서류 등이 어떻게 되는지 쉽게 정리 .. 공무원-군무원-군인 2023. 1. 3.
국내이전비 지급 사례 부임의 명에 따라 거주지를 이사하는 경우 지급받게 되는 국내이전비 지급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이전비는 5톤 이하 또는 초과하는 이사 화물을 기준으로 실비로 지급됩니다. 사례를 알아보기 전에 국내이전비의 지급 대상 및 지급 기준에 대하여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상세하게 설명해 놓았습니다. 국내이전비 지급 대상 및 기준 국내이전비의 지급 대상 및 지급 기준, 지급 금액, 이주 및 신청기한, 제출 서류 등이 어떻게 되는지 쉽게 정리 했습니다. miligence.tistory.com 서울시 소재 ‘A기관에서 B기관’으로의 인사발령을 계기로, 종전 거주지(또는 주민등록지)인 원주시에서 서울시로 이사한 경우, 이전비를 지급할 수 있는지? 국내 이전비 지급은 인사발령으로 근무지가 변경된 경우를 .. 공무원-군무원-군인 2023. 1. 1.
국내이전비 지급 대상 및 기준 국내이전비는 부임 여비와 같이 공무원의 신규 임용 또는 발령 및 인사교류 등으로 거주지를 이전하였을 경우 지급됩니다. 쉽게 생각하면 이사비 지원입니다. 이 글에서는 국내이전비의 지급 대상 및 기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그전에 국내이전비와 같이 지급받을 수 있는 부임 여비에 대해서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상세하게 설명해 놓았습니다. 부임 여비 지급 기준 공무원으로서 신규 임용 또는 발령, 파견 등으로 부임의 명을 받아 이동하였을 때 지급하는 부임여비 지급 기준입니다. miligence.tistory.com 국내이전비 지급 대상 근무지 외의 지역으로 부임의 명을 받은 공무원 청사 소재지 이전에 따라 거주지를 이전하는 공무원 근무지 외의 곳에 거주하는 사람을 신규 임용하는 경우 국내이전비 지급 기준 부임.. 공무원-군무원-군인 2022. 12. 31.
신규 임용 및 근무지 변경에 따른 부임 여비 지급 사례 부임 여비는 공무원이 첫 신규 임용되거나 기존 재직자가 발령, 파견, 전보 등이 되었을 때 이동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식비, 교통비(운임) 등 여비를 지급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부임 여비 지급 관련 자주 질의하는 3가지 사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전에 부임 여비의 자세한 지급기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신규 임용 및 근무지 변경에 따른 부임 여비 지급 기준 공무원으로 신규 임용되어 부임하거나, 보직 이동 등으로 발령되어 다른기관에 부임하였을 때의 여비에 대한 지급 기준 안내입니다. miligence.tistory.com 서울 소재 기관에 신규 채용 된 「갑」(서울 거주)와 「을」(부산 거주)에 대해 부임여비를 지급할 수 있는지? 신규채용자에 대한 부임여비는 근무지 외의.. 공무원-군무원-군인 2022. 12. 30.
신규 임용 및 근무지 변경에 따른 부임 여비 지급 기준 공무원으로 신규 임용되어 부임하거나, 발령 및 인사교류 등으로 타지역으로 이전을 하게되면 공적인 사항이기 때문에 여비가 지급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무원이 신규 임용 또는 근무지 변경에 따라 지급되는 부임여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임 여비 지급 대상 부임의 명을 받거나, 청사이전에 따라 근무지를 변경하게 된 공무원 및 신규채용 공무원은 부임여비의 지급대상이 됩니다. 단, 부임의 명을 받은 지역이 근무지 외 지역 거주자에 한하여 대상이 됩니다. 여기서 부임의 명이란 전보, 펴견 등에 의하여, 새로운 근무지가 소재하는 지역으로 여행하게 되는 것을 말합니다. 부임 여비 감액 및 대상 제외 동일 시 · 군 내의 부임 또는 기타 사유로 여비의 일부 또는 전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액하거나 지급.. 공무원-군무원-군인 2022. 12. 29.
근무지 외 출장여비 사례(식비, 숙박비) 근무지 외 출장여비의 일비, 식비, 숙박비, 운임 중 이번 글에서는 식비와 숙박비에 대한 지급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식비는 일반직 공무원 3급(국장급) 이상은 25,000원, 일반직 공무원 3급(과장급) 이하는 20,000원 정액 지급 됩니다. 그리고 숙박비는 직급 상관없이 실비로 지급되지만 일반직 공무원 3급(과장급) 이하는 서울 70,000원, 광역 60,000원, 기타 50,000원의 상한선 내에서 실비 지급됩니다. 관련 사례를 알아보기 전에 근무지 외 출장여비의 자세한 지급기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설명해 놓았습니다. 또한 일비와 운임의 지급 사례도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근무지 외 출장여비 지급 기준(일비, 식비, 숙박비, 운임) 공무원의 출장 중 「근무지 외 출장」의 의미는 동일.. 공무원-군무원-군인 2022. 12. 28.
근무지 외 출장여비 사례(운임, 일비) 근무지 외 출장여비 사례(식비, 숙박비) 근무지 외 출장여비는 일비, 식비, 숙박비, 운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그중 운임은 출장기간 사용한 교통수단에 따라 실비로 지급되는 반면에, 일비는 직급에 상관없이 20,000원 정액 지급 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근무지 외 출장여비 중 운임 및 일비에 대해서 자주 묻는 사례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전에 근무지 외 출장여비의 자세한 지급기준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설명해 놓았습니다. 근무지 외 출장여비 지급 기준(일비, 식비, 숙박비, 운임) 공무원의 출장 중 「근무지 외 출장」의 의미는 동일 근무지 소재지 이외의 다른 시 · 군 · 섬의 출장을 의미합니다. 또는 여행 거리가 왕복 12km 이상인 출장을 의미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근무 mi.. 공무원-군무원-군인 2022. 12. 27.